엔터테인먼트
음원, 영화 및 드라마 제작에 관련된 기업군과 매니지먼트 관련 회사이다. 아시아 대중문화 시장에서의 한류 열풍으로 현재의 코로나 이후의 엔터주 움직임에 주목할만하다. 케이블 tv 보급 확대, 디지털 음원, dmb, ip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전송 활성화로 콘텐츠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부각된 섹터를 포함하여 국내 엔터테인먼트 시장은 연예매니지먼트, 영화/애니메이션, 음반, 방송/드라마, 인터넷 사업(음원 등의 디지털 콘텐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동안 주춤했던 상황으로 볼 때 업종 전반에 걸친 투자심리 개선으로 주요 엔터주의 상승은 당연한 결과 일 것이다.
◈ 플랫폼 ◈
1. 방송
- SO(System Opertor) -
케이블 - 현대 퓨쳐 넷, 태광산업, LG헬로비전
위성 - 스카이라이프
PP - IHQ, 한국경제 TV, YTN, CJ ENM,
TV - 티비씨, KNN, SBS
OTT - THE E&M, 아프리카 TV
2. 연예기획사
와이지엔터테인먼트, JYP ENT, 하이브, 에스엠, 아이오케이, 에프엔씨 엔터, 큐브엔터, 판타지오, 스튜디오 산타클로스, 이매진아시아
3. 영화
세기상사, 롯데쇼핑, 제이콘텐트리, CJ CGV
4. 음원
YG PLUS, NHN벅스, 드림어스 컴퍼니, 소리바다, 지니뮤직
5. 신문
KMH, 아시아경제, 한류타임스
◈ 콘텐츠 ◈
기존 글로벌 OTT였던 넷플릭스, 웨이브 외에 디즈니 플러스, 애플 TV, 등 경쟁력 있는 글로벌 플레이어들이 시장에 합류하여 유통 플랫폼이 증가하는 만큼 제작사의 네고 파워가 높아져 콘텐츠 제작사의 수익성이 이전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콘텐츠 제작사의 마진율이 높아지고, 다양한 플랫폼의 제작사들은 높은 가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IP를 많이 보유할 수 록 매출액 및 수익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외주제작이 아닌 직접 제작해 지적재산권을 판매하려는 움직임이 강할 것이다. 이러한 흐름으로 볼 때 콘텐츠 관련주에 주목할만하다.
1. 영화
CJ ENM, NEW, 쇼박스
2. 드라마
스튜디오 드래건, 에이스토리, 초록뱀, 키이스트, SBS 콘텐츠허브, 제이콘텐트리, 디지털조선, 팬엔터테인먼트, SM C&C, 삼화 네트웍스, 이스타코
3. 웹툰
미스터블루, 디엔씨 미디어, 키다리 스튜디오, 브레인 콘텐츠
4. 캐릭터
손오공, 오로라, 캐리 소프트, 대원미디어, 애니플러스
5. 광고
제작 - 제일기획, 이노선, 지투 얼, 오리콤
미디어랩 - 나스미디어, 엔크로스, 이엠넷, 와이즈버즈, 콜 레이디, 퓨쳐스 드림네트웍스, 에코마케팅
6. 유튜브
SM Life Design, 버킷 스튜디오, iMBC, KTH
7. 설루션
디지캡
◈ 콘텐츠 인프라 ◈
1. 특수효과
덱스터, 위지 웍스 스튜디오, 바른손
2. 셋톱박스
휴맥스, 가온미디어, 홈캐스트, 알티캐스트, 디엠티, 알로이스
3. 방송장비
비덴트
'주식 >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주•은행주•증권주 관련주-보험주•창투사•핀테크 (0) | 2022.04.04 |
---|---|
에너지 관련주 - 원전(원자력발전) • 가스 • 태양광 • 풍력 관련 종목 (0) | 2022.04.02 |
전기차 배터리•자율주행차•수소차 관련주 - 현대차 •에코프로비엠 (0) | 2022.03.31 |
IT 관련주 - 인터넷˙보안˙시스템 통합(SI)˙소프트 웨어 (0) | 2022.03.29 |
2차전지 소재 전해질 관련주 - 천보·후성 (0) | 2022.03.29 |
댓글